본 협의회는 사회과학의 제 학문분야간 상호협동을 기하고 한국의 정치·경제·사회·문화 및 교육에 관한
연구를 기획, 조직하고 지원하기 위하여 1976년 4월 1일 설립되었으며, 1989년 11월 3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
사단법인 인가를 받았다.
현재 본 협의회에는 모두 15개의 주요학회가 참가하고 있으며, 따라서 본 협의회는 한국의 사회과학 공동체를
가장 광범위하게 반영하는 민간 학술단체이다. 본 협의회는 아시아사회과학연구협의회(AASSREC)와
국제사회과학기구연합회(IFSSO)의 회원으로 각각 회장국과 부회장국을 역임한 바 있고,
현재는 사회과학분야에 있어 국제학술교류 활동의 지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. 본 협의회는 회장, 부회장,
연구위원장, 편집위원장, 그리고 총무로 구성되는 회장단, 본 협의회의 회계감사를 맡는 감사와
협의회 역대 회장단으로 구성된 이사회가 있다.
각종 연구활동은 연구위원회가, 출판활동은 편집위원회가 맡고 있다. 회원은 본 협의회에 가입되어 있는
각 학회로부터 선출, 파견되는 학회대표 회원과 한국사회과학계에서 지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개인자격
회원들로 구성된다.
학회 | 회장 | 소속 |
---|---|---|
경제사학회 | 이명휘 |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|
국제개발협력학회 | 권혁주 | 서울대 행정대학원 |
대한지리학회 | 이용우 | 前 국토연구원 |
한국경영학회 | 이영면 |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|
한국경제학회 | 이인호 |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|
한국교육학회 | 김성열 | 경남대 교육학과 |
한국국제정치학회 | 이상환 |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|
한국문화인류학회 | 임경택 | 전남대 고고문화인류학과 |
한국사회복지학회 | 강철희 |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|
한국사회학회 | 유홍준 | 성균관대 사회학과 |
한국심리학회 | 조현섭 | 총신대 중독재활상담학과 |
한국언론학회 | 김춘식 |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부 |
한국여성학회 | 김경희 | 중앙대 사회학과 |
한국정치학회 | 윤성이 |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|
한국행정학회 | 이원희 | 한경대 행정학과 |
- 연구활동
1) 각종 공동연구사업의 주관 및 연구활동 지원
□ 2016년 연구사업
-2016년 국가미래의제 (SBS 문화재단)
□ 2015년 연구사업
–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경제 연구: 사회의 질 관점에서(사회적 기업연구소)
– 디지털 경제와 새로운 사회질서의 형성(DIgital Economy and the Formation of New Social Order)(정보통신정책연구소)
– 창의적 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사회혁신 네트워크 촉진 및 플랫폼 개발 연구(미래창조과학부)
□ 2014년 연구사업
– 국가주요지표체계(통계청)
– 사회통계프레임워크작성(통계청)
□ 2013년 연구사업
– 국제적 위상제고에 따른 우리나라 정부의 해외 홍보체계 발전방안(한국행정연구원)
– 도미니카 공화국공공행정부조직진단 및 개편을 위한 컨설팅(안전행정부)
– 박사연구인력 지원을 위한 리서치펠로우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(한국연구재단)
□ 2012년 연구사업
– LH형 공공서비스 활성화 및 서비스 품질 제고방안 연구(한국토지주택공사)
– 국제적 위상제고에 따른 우리나라 정부의 해외 홍보체계 발전방안(한국행정연구원)
– 성공적인 법인화를 위한 추진전략과 과제 도출(안전행정부)
– 대부처주의 정부기관의 성과분석 연구: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(안전행정부)
– 공공행정컨설팅 타당성 조사 사업평가 및 효율성 제고 방안(안전행정부)
□ 2011년 연구사업
– 2011년 사회과학성과홍보확산지원 협약(한국연구재단)
– 2010 유네스코 사회과학보고서 연구분석(유네스코 한국위윈회)
– 선진사회를 위한 미래 여성정책의 전망과 과제(여성가족부)
– 글로벌 공기업으로서 LH의 정체성과 미래 발전전략(한국토지주택공사)
– 한국사회의 변천과 여성(여성가족부)
□ 2005년 연구사업
– 과학기술시대의 국가운영체계
– 인력양성정책의 범사회과학적 탐색
□ 2002년 연구사업
– 한국사회과학의 공공정책 기여도 제고방안 : 학제간 연구(한국학술진흥재단)
– 교육개혁 추진 평가 연구(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)
□ 2001-2002 연구사업
– 한중일 경제협력의 장기비전과 부문별 협력과제에 관한 연구
□ 2000-2001년 연구사업
– 사이버 교육을 통한 인적 자원 개발 방안 연구(한국직업능력개발원)
– 디지털 시대의 가버넌스(governance)모형에 관한 조사 연구(정보통신연구진흥원)
– 정보사회 지체로 인한 학교붕괴 해소책 연구 : I(정보)주도적 학습체제와 N(네트워크)
– 문화풍토 학교개발을 중심으로(한국학술진흥재단)
– 한국사회의 불평등(교육부)
□ 2000년 연구사업
– 북한의 관료제 및 인사제도 연구(중앙인사위원회)
– 지식정보화 시대의 대학문화 육성을 위한 대학자치활동의 건전화방안에 관한 연구(교육부)
– 사회적 통합을 위한 교육정책/방향과 과제 (한국교육개발원)
□ 그외
– 글로벌리제이션(globalization)과 시민의식 관련 연구(1998 ~1999)
–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문제(1998 ~1999)
– 학술연구 지원 사업 평가/조정 연구(1998 ~1999)
– 공공부문 정보화 예산투자 및 회계제도 개선방안 연구(1999)
– 한국 고용보험제에서 실업급여와 적극적 노동시장 프로그램의 연계강화를 위한 전략연구(1999)
– 경제적 불황의 사회심리적 영향과 대응(1997 ~1998)
– 사회과학의 새로운 지평(1996 ~1998) 외 다수
2) 한국의 사회과학 발전과 한국사회의 바른 이해를 위한 각종 세미나, 심포지엄, 논단 및 워크숍의 개최
□ 2015년 학술대회 개최
– 월례세미나 “세계사회과학의 동향과 전망”
① 제 1회 월례세미나
주제: “Trust: New Research Trends”
발표: Reinhard Bachmann (Chair in International Management, Department of Financial and Management Studies, SOAS, University of London)
일시: 2015. 4. 16.
장소: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(303호)
②제 2회 월례세미나
주제: “The High Tech Economy, Work, and Democracy 2.0: A Research Agenda”
발표: Ruth Collier (Professor, UC Berkeley)
일시: 2015. 7. 7.
장소: 서울대학교 16동 349호
③제 3회 월례세미나
주제: “Contemporary Morality: Crisis, Societalization and Civil Repair”
발표: 제프리 알렉산더(Lillian Chavenson Saden Professor of Sociology, Yale University)
일시: 2015. 10. 19.
장소: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영원홀
– SSK 연구사업단 연합 심포지엄
① 일시: 2014. 11. 27.
② 장소: 명동 유네스코 홀
– 학술대회
① 주제: 광복 70주년 대한민국 7대 과제-21세기 일류국가를 위한 정책 제언
② 일시: 2015. 4. 17.
③ 장소: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
④ 공동 주최: 한국사회과학협의회, 경제·인문사회연구회
⑤ 후원: 국민은행
– 사회과학연구진흥(SSK)을 위한 국제학술대회
① 주제: “Capitalism and Capitalisms in Asia: Origin, Commonality, and Diversity”
② 일시: 2015. 10. 22~23.
③ 장소: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
④ 공동 주최: 한국사회과학협의회, 서울대 아시아연구소
⑤ 후원: 한국연구재단, 중앙선데이
□ 2014년 학술대회 개최
– 경제·인문사회연구회-한국사회과학협의회 공동 워크숍
① 주제: 인구 고령화
② 일시: 2014. 3. 20.
③ 장소: 경제·인문사회연구회 세미나실
– 월례세미나 “세계사회과학의 동향과 전망”
① 제 1회 월례세미나
주제: Evergreens and New trends in Sociology: Culture, Economy, and Organization”
발표: Markus Pohlmann (하이델베르크대학 사회학과 교수)
일시: 2014. 4. 4.
장소: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(303호)
② 제 2회 월례세미나
주제: 경제학의 백화제방과 이종교배
발표: 장하준 (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 교수)
일시: 2014. 8. 14.
장소: 아시아연구소 삼익홀(220호)
③ 제 3회 월례세미나
주제: Forging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cience Research and Public Administration
발표: James L. Perry (미국행정학회 PAR 편집장)
일시: 2014. 10. 8.
장소: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(303호)
– 사회과학연구진흥(SSK)을 위한 공동학술대회
① 주제: 나눔의 사회과학
② 일시: 2014. 5. 30.
③ 장소: 연세대학교 새천년관 국제회의실(701호)
④ 주최 및 주관: 한국사회과학협의회
⑤ 공동 주최: 한국경제학회, 한국경영학회, 한국사회학회, 한국정치학회, 미래인력연구원
⑥ 후원: 한국연구재단
– 한국사회과학협의회-과실련 (‘바른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’) 연합세미나
① 주제: 세월호 침몰, 무엇이 문제였나: 과학기술과 사회과학의 만남
② 일시: 2014. 6. 12.
③ 장소: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영원홀
– 사회과학연구진흥(SSK)을 위한 국제학술대회
① 주제: 갑오년의 동아시아와 미래 한국, 1894와 2014
② 일시: 2014년 10월 24일(금) 9:30~18:00
③ 장소: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 (210호)
④ 주최: 한국사회과학협의회
⑤ 후원: 경제인문사회연구회, 한국연구재단
– SSK 연구사업단 연합심포지엄
① 주제: 한국사회과학의 신 경향
② 일시: 2014. 12. 5.
③ 장소: 명동 유네스코 홀
□ 2013년 학술대회 개최
– 학술 세미나
① 주제: 사회과학의 발전과 정부의 연구지원 방향
② 장소: 코리아나 호텔 7층 세미나실
③ 일시: 2013. 1. 22.
– 국제학술대회
① 주제: Convergence of Art, Humanities, Natural and Social Sciences for Global and Public Problem Solving
② 일시: 2013. 5. 16.
③ 장소: 코리아나 호텔 세미나실
– 학술심포지움
① 주제: 제도와 국가발전 (I): 공공 부문
② 일시: 2013. 9. 13.
③ 장소: 코리아나 호텔 세미나실
– 학술심포지움
① 주제: 제도와 국가발전 (II): 시장 및 시민사회 부문
② 일시: 2013. 11. 29.
③ 장소: 코리아나 호텔 세미나실
□ 2012년 학술대회 개최
– 사회과학포럼: “한국사회 대논쟁”
2012년 <중앙 선데이>와 총 25회 개최
– 글로벌정책·사회과학아카데미: 해외 고위 공무원 초청 연수
① 주제: 한국 발전과 공공정책
② 장소: 서울대학교
③ 일시: 2012. 2. 12~2. 18.
– 경제인문사회연구회-국정과제 세미나
① 주제: 한국 자본주의 생태계의 새로운 모색
② 일시: 2012. 4. 24~25.
③ 장소: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10층
④ 주최: 경제․인문사회연구회, 중앙일보
⑤ 후원: 국무총리실, 한국사회과학협의회
– 제1차 학술심포지움 개최
① 주제: 사회과학의 발전과 SSK 사업: 성과와 향후과제
② 일시: 2012. 5. 29.
③ 장소: 코리아나 호텔 세미나실
– 공동 학술대회 개최
① 주제: 융합연구, 왜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인가
② 일시: 2012. 6. 8.
③ 장소: 코리아나 호텔 세미나실
④ 주최: 한국사회과학협의회, 한국과학기술한림원
⑤ 후원: 국가과학기술위원회
– 공동 학술세미나
① 주제: 한국사회의 공정성, 1990∼2011: 변화추이의 국제비교와 발전방향 모색
② 일시: 2012. 6. 19.
③ 장소: 한국프레스센터 (19층)
④ 주최: 경제인문사회연구회
⑤ 주관: 한국사회과학협의회, 성균관대서베이리서치센터
⑥ 후원: 국무총리실, 한국연구재단
– 사회과학 발전과 정부의 역할 : 특별세미나
① 주제: 사회과학 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: 미국 사례
② 일시: 2012. 6. 29.
③ 장소: 팔레스호텔
④ 참여: 미국행정학회 Tom. Liou 회장, Antoinette A.Samuel 사무총장
– 경제인문사회연구회-학술대회 후원
① 주제: 2015 한중일 역학관계 변화와 우리의 대응전략
② 일시: 2012. 10. 25.
③ 장소: 엘타워 (매리골드 홀 5층)
④ 주최: 경제․인문사회연구회
⑤ 후원: 한국사회과학협의회
– 사회과학 발전과 정부의 역할 : 특별세미나
① 주제: 사회과학 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: 싱가포르 사례
② 참여: 싱가포르국립대 정치학과 샴술 교수(AJPS 편집장)
– 사회과학포럼
① 주제: 국가와 사회과학 발전(연구지원과 기여방안에 대한 분야별 사례)
② 일시: 2012. 11. 2.
③ 장소: 국회의원회관 의원열람실 219호
– 중앙일보 대선 공약평가 후원
① 주제: 대선후보 공약평가
② 일시: 2012. 11. 20-22.
– 사회과학 발전과 정부의 역할: 특별세미나
① 주제: 사회과학 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: 중국 사례
② 일시: 2012. 12. 19.
③ 장소: 정동 달개비
④ 참여: 북경 사범대 YIN Luanyu 교수, Zhao Qiuyan 교수 외
□ 2005년 학술대회 개최
– 지방정치제도개선 세미나
□ 2003년 학술대회 개최
– 새 정부 교육개혁의 방향과 과제
– 한국사회의 무질서, 바로 세울 수 있는가?
– 한국사회 갈등구조; 진단과 처방
□ 2002년 학술대회 개최
– 인적자원 개발과 사회과학의 역할
– 한국의 사회과학과 공공정책
□ 2001년 학술대회
– 세계화와 아시아, 태평양 지역에 대한 영향 : 한국의 사례
– 한국사회와 속도(한국언론정보학회와 공동개최)
□ 2000년 학술대회
– 새 밀레니엄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?
– 세계화와 글로벌 가버넌스(governance) : 세계질서와 민주주의의 미래
□ 그 외
– 정보사회와 사회과학(1998)
– 21세기 한국인의 삶의 질(1997) 등의 학술대회,
– 한국 근대화에 대한 민중사학적 시각(1994),
– 21세기 자본주의 논쟁(1994)등 논단,
– 사교육문제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(1997),
– 한국사회의 비리와 제도적 개혁(1993)등 워크샵 다수 개최
3) 소규모 연구활동 지원
– 매년 회원학회에서 추천을 받아 지원
□ 2003년도 제 25차 소규모 특별연구지원
– 한국언론학회: 이종혁(경희대 신문방송학)
” 한국적 언론관계 모델(Korean Media Relations Model) 개발을 위한 ‘정(情)’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실증연구 ”
– 한국심리학회: 서수균(서울대 심리학)
” 역기능적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특성 및 그 치료적 변화 ”
□ 2002년도 제 24차 소규모 특별연구지원
– 한국교육학회: 김병찬(서울대 교육학)
” 구성주의 관점에 입각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”
– 한국행정학회: 박영원(성균관대 행정학)
” MIMIC 모형과 DYMIMIC 모형을 적용한 부패 수준의 측정에 관한 연구 ”
– 한국정치학회: 최경희(한국외대 정치외교학)
” 이해연합관계와 정치변동에 관한 연구: 아시아, 아프리카, 라틴아메리카를 중심으로 ”
□ 2001년도 제 23차 소규모 특별연구지원
– 한국경제학회: 김용훈(강원대 농업자원경제학)
” 연변지역 농업의 유형별 발전 잠재력에 관한 연구 ”
– 한국언론학회: 이건혁(서울대 언론정보학)
” 미디어 프레임이 정치적 불신과 정치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”
4) 각종 국제교류 학술활동
□ 2015년 국제교류 학술활동
– 협의회 임원진 AASSREC 대만 회의 참가
① 일시: 2015. 4. 27~29
② 장소: AASSREC 21st Biennial Conference First Conference Room, 3F, The Old Wing, Institute of Ethnology, Academia Sinica
□ 2014년 국제교류 학술활동
– 아시아사회과학협회(Asia Social Science Association) 창립 준비 workshop 참석
① 일시: 2014. 9. 19~20.
② 장소: 태국 방콕
③ 참석자: 이진규(부회장)
– 영국 ESRC 방문 교류
① 일시: 2014. 6. 16~18.
② 방문자: 임현진(회장), 박찬욱(부회장), 공석기(총무위원)
– 중국 사회과학원 방문 교류
① 일시: 2014. 4.
② 방문자: 임현진(회장), 공석기(총무위원)
– 중국 길림성 사회과학원 방문 교류
① 일시: 2014. 9.
② 방문자: 임현진(회장)
* 중국측 2014년 10월 내방
□ 2013년 국제교류 학술활동
– 세계사회과학협의회(ISSC) 사무총장 초청 국제학술대회
① 주제: 사회과학발전과 정부의 역할
② 일시: 2013. 4.
③ 장소: 코리아나 호텔 7층 세미나실
– 세계사회과학협의회(ISSC) 세계사회과학포럼(WSSF) 참가
① 주제: Social Transformations and the Digital Age
② 기획: UNESCO 한국위원회, 한국연구재단
③ 일시: 2013. 10. 13~15.
④ 장소: 몬트리얼
⑤ 참가자: 박찬욱 부회장(한국패널 사회), 엄석진 편집위원장(논문발표)
– 제20차 아시아사회과학협의회(ASSREC) 총회 참석
① 주제: “Aging in Asia-Pacific: Balancing the State and the Family”
② 일시: 2013. 4. 4~6.
③ 장소: 필리핀 세부
④ 참가자: 임현진 차기회장
– 세계사회과학협의회(ISSC) 가입
① 일시: 2013. 11. 8.
② 자격: Member Organisation
– 세계사회과학협의회 제4회 세계사회과학포럼(WSSF) 유치 계획
① 일시: 2018년도
② 대주제 및 패널 선정:
대주제: Towards Creative Global Society with Divergent-cum-Convergent Social Sciences (안)
패널주제: 각 회원학회별로 제안
③ 공동기획: 교육부, UNESCO 한국위원회, 한국연구재단, 세종시 (안)
④ 추진체계: 자문위원회(한국사회과학협의회 운영협의위원회),
집행위원회(한국사회과학협의회 집행부, 위원장: 박찬욱부회장)
□ 그외
– 제 15차 아스렉(AASSREC-아시아사회과학연구협의회)총회 참석 & 주제 발표
① 기 간 : 2003. 11. 9 ~ 2003. 11. 14
② 주 제 : Youth in Transition
③ 장 소 : 캔버라(호주)
④ 참가자 : 황상민(14대 연구위원, 연세대 교수)
– 제14차 아스렉(AASSREC-아시아사회과학연구협의회)총회 참석
① 기 간 : 2001. 11. 4 ~ 11. 11
② 주 제 : Globalization and its Impact on the Asia Pacific Region
③ 장 소 : 하노이(베트남)
④ 참가자 : 이미나(13대총무, 서울대 교수) 한경구(13대 편집위원장, 국민대 교수)
④ 참가자 : 정진영(논문 발표자, 연구위원, 경희대 교수)
– 아사아사회과학연구협의회 제 2차, 7차, 13차 총회 개최(1997. 10, 1987. 8, 1999. 10)
- 출판사업
1)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
국내외로 배부되는 영문 정기간행물로 1973년 이래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공동으로 매년 발간하고 있다.
한국사회과학에 관한 영어논문을 싣는다. 1997년부터 매년 2회 발간(6월과 12월)하고 있다.
– 한국학술진흥재단의 국제학술지 발행지원 사업의 지원대상 학술지로 선정
–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후보 학술지로 선정(2001년부터)
2) 사회과학논평
국내에서 발간된 사회과학 분야의 주요 저서들에 대한 서평전문지로서 1982년부터 매년 발간하고 있다.
3) 사회과학소식
본 협의회에 참여하고 있는 11개 학회들에 대한 안내와 본 협의회에서 주관하는 각종 연구, 출판 등의
사업의 보고, 사회과학 전반에 걸친 공동관심사를 논의하는 회보로, 연 2회 발행된다.
4) 단행본
– 갑오년의 동아시아, 진인진, 2015
– 광복 70주년 대한민국 7대과제, 진인진, 2015
– 나눔의 사회과학, 진인진, 2014
– 한국사회과학협의회(편). 2013. 융합연구: 이론과 실제. 파주: 법문사
– 한국사회과학협의회·중앙선데이(편), 2012. 한국사회 대논쟁. 서울: 메디치미디어
– 안병영, 임혁백 편. 2000. 세계화와 신자유주의. 서울 : 나남
– 임희섭 편. 1999. 사회과학의 새로운 지평. 서울 : 나남
– 임희섭, 양종회 편. 1998.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 운동. 서울 : 나남
– 임희섭 편. 1998. 사회과학의 새로운 지평. 서울 : 나남
– 석현호 편. 1997.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. 서울 : 나남 외 다수의 단행본 발간
– 백완기·신유근 外 공저, 1996,「문화와 국가경쟁력」: 박영사
– 이정전 編, 1995,「지속가능한 사회와 환경」: 박영사
– 백완기 編, 1995,「국제화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해」: 박영사
– 황일청 編, 1992,「한국사회의 불평등과 형평」: 나남
– 한사연 編, 1990,「대학교육: 사회과학분야」: 대왕사
– 이갑윤 外 공저, 1990,「한국사회의 인식논쟁」: 법문사
– 박동서 外 공저, 1990,「사회변화와 윤리」: 법문사
– 한사연 編, 1986,「한국사회의 변화와 문제」: 법문사
– 강신택 外 공저, 1983「사회과학 방법론」: 박영사
5) 연구보고서
– 정보사회와 사회과학(1998)
– 21세기 한국인의 삶의 질(1997) 외 다수 발간
– 사회과학의 새로운 지평 (1996)
–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(1996)
– 개혁과 저항 (1996)
– 초고속정보통신기반하의 어플리케이션 연구 (1995)
– 환경과 주택문제: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 (1995)
– 초고속정보통신망의 구축과 국가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(1994)
– 국민의 과학기술이해도 조사 및 사회 문화 단체를 통한 과학기술이해의 전국적 확산방안 연구 (1994)